본문 바로가기
알고싶은 모든 것!

광복 80주년을 맞이하며, 역사를 읽는 시간 – 추천 역사책 BEST 5

by risa-lee 2025. 8. 10.
728x90
반응형

 

2025년은 대한민국 광복 80주년입니다.
1945년 8월 15일, 우리 민족은 35년간의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나 마침내 자유와 독립을 되찾았습니다.
올해는 그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한 지 80년이 되는 해로, 그 의미가 더욱 깊습니다.

 

광복절을 맞이하며 읽어보면 좋을  역사책 BEST 5 추천드릴게요! 

광복 80주년을 맞이하며, 역사를 읽는 시간 – 추천 역사책 BEST 5

 

 

2025년은 대한민국 광복 80주년입니다.
1945년 8월 15일, 우리 민족은 35년간의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나 마침내 자유와 독립을 되찾았습니다.
올해는 그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한 지 80년이 되는 해로, 그 의미가 더욱 깊습니다.

광복절은 단순한 휴일이 아니라, 민족의 치열한 투쟁과 희생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날입니다.

 

 그리고 이를 더 깊이 새기는 방법 중 하나가 역사책 읽기입니다.
특히 일제강점기, 독립운동, 해방과 분단의 역사에 대한 책은
우리가 지금 누리는 자유와 평화가 어떤 대가로 얻어진 것인지 깨닫게 해줍니다.

 

🌟 광복절에 읽으면 좋은 역사책 선정 기준

 

 

역사책이라고 하면 무겁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, 광복절에 맞춰 읽는 책은 다음 기준으로 선택하면 좋습니다.

  1. 사실 기반 – 역사적 기록과 증거를 바탕으로 한 책
  2. 인물 중심 – 독립운동가, 역사적 인물의 삶을 다룬 전기·에세이
  3. 대중성 – 역사 비전공자도 읽기 쉬운 서술과 구성
  4. 비판적 시각 – 단순 사건 나열이 아닌, 배경과 맥락 설명이 있는 책

📚 추천 도서 소개

 

1. 《26일 동안의 광복》 – 길윤형

  • 내용: 1945년 8월 15일 광복 직전부터 이후 26일간의 생생한 풍경을 재구성.
  • 특징: 해방을 맞은 조선 민중의 심리와 분위기를 다큐멘터리처럼 그려냅니다.

가슴 뛰게 하는 해방의 순간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어요.

예스24 - 구매페이지 바로가기

 


2. 《한 권으로 읽는 일제강점실록》 – 박영규

  • 내용: 일제통치 36년을 연대별 사건・인물을 중심으로 구성.
  • 저자: 박영규(역사작가) – 실록 시리즈로 대중 역사 저술을 대중화한 인물.
  • 특징: 역사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구조로, 중·고등학생부터 역사 입문자에게도 딱. 

예스24 - 구매페이지 바로가기


3. 《독립의 그날들》 또는 아동 역사 시리즈 – 꿈꾸는 뉴런

  • 내용: 어린이용 그림책 형식으로 독립운동과 광복의 날들을 스토리텔링화.
  • 특징: 어린이뿐 아니라 성인도 쉽게 이해 가능한 그림책이지만, 감동은 진짜예요. 

꿈꾸는 뉴런 무궁무진 한국사 외


4. 《도조 히데키와 제2차 세계대전》 – 호사카 마사야스 저

  • 내용: 제2차 세계대전과 일본의 역할, 도조 정권 중심으로 국제 정세 시각 제공.
  • 추천 이유: 우리 독립운동과 광복을 보다 넓은 세계사 흐름 속에서 이해할 수 있어요.

도조 히데키와 제 2차 세계대전 - 교보문고 구매페이지 바로가기


5. 《인물로 보는 여성 독립운동사》 – 이윤옥

  • 내용: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생애와 활동을 중심으로 한 전기 모음집.
  • 추천 이유: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통해 역사 속 숨은 영웅들을 만날 수 있어요.

인물로 보는 여성 독립운동사 - 교보문고 구매페이지 바로가기


📌 읽기 팁

  • 연표・지도 함께 보기: 지명과 연도로 시야를 넓히면 이해력이 올라갑니다.
  • 다큐/영화 병행: 예: 〈밀정〉, 〈암살〉, 〈1919 유관순〉 영화로 감정을 보조하며 읽어보세요.
  • 독서 후 대화 나누기: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이야기하며 토론하면 기억도 오래가고, 감동도 배가 돼요.

 


📖 광복 80주년 역사 독서의 의미

 

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이하는 해입니다.
그 의미를 단순한 역사 지식이 아닌, 마음 깊이 새기는 기회로 만들어보세요.
독립운동가들의 용기와 희생, 그리고 해방의 기쁨 뒤에 남겨진 과제를 알고 나면,
현재의 자유를 당연하게 여기지 않게 됩니다.

역사책 한 권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, 우리가 다음 세대에 전할 기억과 책임이 될 수 있습니다.
올해 광복절에는 TV 앞에 앉아 기념식만 보는 대신, 책 속에서 당시 사람들의 목소리를 직접 만나보는 건 어떨까요?

728x90
반응형